카테고리 없음

그 고래, 번개

oijhga 2023. 6. 6. 00:51

​ ​ ​ 그 고래, 번개 작가 류은 출판 샘터(샘터사) 발매 2012.09.26 리뷰보기 제1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류은 동화집 ​ 동심이 세상을 구원한다 는 고 정채봉 작가의 업적을 기리고, 동화 작가 발굴을 위한 정채봉 문학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동화입니다. 우수 문학 도서로 추천받은 그고래, 번개를 읽고 참 마음이 좋았습니다. ​ 아이들 동화를 읽으면 내 맘이 이토록 즐거워 지니.. 아이 핑계를 대서라도 동화를 꾸준히 읽고 있습니다. ​ ​ 그 고래, 번개 책에는 4가지 이야기가 나옵니다. ​ 고래, 번개와 함께한 섬 아이의 이야기인 그고래, 번개 베트남 엄마를 둔 태봉이가 연변 친구가 슬기롭게 극복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자신을 돌아보는 ​이야기, 베트남 +한국 치매 할머니 와 손녀, 마귀할멈 이야기 꼬마 산신령의 이야기, 달봉이~ ​ 이 4가지의 이야기가 동화로 전해져 아이들의 감성을 자극합니다. ​ 아이랑 읽으면서, 참 즐거웠습니다. ​ ​ 역시나 그 고래, 번개 부분이 가장 인상적이었지요. 그 아이가 펼치는 사투리를 들으며.. 딸 아이가 까르르 웃기도 하고 고래와 함께 바닷속을 즐기며 노는 상택이가 부럽기도 했지요. 고래는 과연... 상택이 때문에 이 섬에 머물렀을까요? ​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까지도 읽어볼만한 책. 우수 문학도서로 추천받은 그 고래, 번개! 저도 추천해봅니다. ^^ ​ ​ ​ ​ 세상 모든것을 사랑하는 따뜻한 마음, 우리를 꿈과 희망으로 초대하는 이야기. 감칠맛 나는 표현력이 정채봉 선생님을 닮았습니다. - 이해인 수녀 서평을 끝으로 이 책을 소개해봅니다. ​ ​ 2015. 2. 9 written by 애플 ​ ​  

‘정채봉 문학상’은 고(故) 정채봉 작가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대한민국 아동 문학계를 이끌어 나갈 동화 작가를 발굴하기 위하여 제정되었습니다.‘동심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정채봉 작가의 믿음을 이어 가겠습니다. 오세암 으로 대표되는 고(故) 정채봉 작가는 2001년 먼 여행을 떠나기 전까지, 나이가 들어도 잃어서는 안 될 동심의 세계를 전하며 우리나라 아동문학계에 큰 획을 그었다. 생전 정채봉 작가는 순수를 잃어버린 우리 사회에서 ‘동심’의 회복은 어렵지만 반드시 이루어야 할 근본적인 가치와 힘이라고 굳게 믿으며 ‘어른들을 위한 동화’ 장르를 개척하기도 했다.여수MBC는 이러한 고인의 믿음을 이어 가고자, 유족과 정채봉 작가의 고향과도 같은 샘터사, 순천시, 전라남도 교육청, 송영수 여수MBC 시청자 위원장, 기업인 박수관 대표 등과 함께 뜻을 모아 2011년 ‘정채봉 문학상’을 제정하였다. ‘정채봉 문학상’을 통해 앞으로 한국 아동문학계에 정채봉 작가의 믿음이 꺼지지 않고 활활 타오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제1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는 정채봉 작가의 순수한 작품 세계와 닮아 있다.대상 수상작과 함께 류은 작가의 따끈따끈한 신작 세 편을 한 권의 동화집으로 묶어 선보인다! 제1회 정채봉 문학상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1년 5월 31일까지 잡지에 발표된 단편 동화 가운데 예심과 1차 심사를 거쳐, 그중 여섯 작품을 최종 심사에 올렸다. 최종 심사 위원들(동화 작가 김병규?이상배, 소설가 정찬주)은 류은 작가의 가 제1회 정채봉 문학상 수상작으로 손색없다고 판단하고, 만장일치로 뜻을 모았다. 남해에 사는 고래 ‘번개’와 섬 소년 ‘나(상택)’가 등장하는 매력적인 이야기 는 자라면서 점점 잊고 지냈던 ‘순수한 동심’을 일깨운다. 덧붙여 고(故) 정채봉 작가의 작품 세계와도 닮아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함께 실린 과 , 역시 탁월한 심리묘사와 안정되고 조화로운 이야기 전개, 무엇보다 읽는 재미가 뛰어난 이야기들로 류은 작가의 역량에 믿음을 갖게 한다. 한동안 번성했던 창작 동화의 기운이 한풀 꺾인 듯 주춤한 이때, 이 상을 통해 다시금 예전의 생기를 되찾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문학나눔 선정 우수문학도서(2012. 4분기)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추천 2월의 책(2013)아침독서 초등 고학년 추천도서(2013)학교도서관사서협의회 고학년 추천도서 (2013)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가정의 달 권장도서 (2013)